문제 설명
길이가 같은 배열 A, B 두개가 있습니다. 각 배열은 자연수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배열 A, B에서 각각 한 개의 숫자를 뽑아 두 수를 곱합니다. 이러한 과정을 배열의 길이만큼 반복하며, 두 수를 곱한 값을 누적하여 더합니다. 이때 최종적으로 누적된 값이 최소가 되도록 만드는 것이 목표입니다. (단, 각 배열에서 k번째 숫자를 뽑았다면 다음에 k번째 숫자는 다시 뽑을 수 없습니다.)
예를 들어 A = [1, 4, 2] , B = [5, 4, 4] 라면
A에서 첫번째 숫자인 1, B에서 첫번째 숫자인 5를 뽑아 곱하여 더합니다. (누적된 값 : 0 + 5(1x5) = 5)
A에서 두번째 숫자인 4, B에서 세번째 숫자인 4를 뽑아 곱하여 더합니다. (누적된 값 : 5 + 16(4x4) = 21)
A에서 세번째 숫자인 2, B에서 두번째 숫자인 4를 뽑아 곱하여 더합니다. (누적된 값 : 21 + 8(2x4) = 29)
즉, 이 경우가 최소가 되므로 29를 return 합니다.
배열 A, B가 주어질 때 최종적으로 누적된 최솟값을 return 하는 solution 함수를 완성해 주세요.
제한 사항
배열 A, B의 크기 : 1,000 이하의 자연수
배열 A, B의 원소의 크기 : 1,000 이하의 자연수
입출력 예 설명
입출력 예 #1
문제의 예시와 같습니다.
입출력 예 #2
A에서 첫번째 숫자인 1, B에서 두번째 숫자인 4를 뽑아 곱하여 더합니다. (누적된 값 : 4) 다음, A에서 두번째 숫자인 2, B에서 첫번째 숫자인 3을 뽑아 곱하여 더합니다. (누적된 값 : 4 + 6 = 10)
이 경우가 최소이므로 10을 return 합니다.
코드 및 설명
def solution(A,B):
sorted_A = sorted(A)
sorted_B = sorted(B, reverse=True)
answer = [ sorted_A[idx] * sorted_B[idx] for idx in range(len(A)) ]
return sum(answer)
A를 오름차순으로, B를 내림차순으로 하면, 최소값을 구할 수 있게 된다. for문 돌리는 방법은 다양하니, 사람마다 다를 수 있고, zip 함수를 사용하여 해도 됩니다. zip은 같은 배열의 크기라면, 데이터를 순서대로 엮을 수 있습니다. 만약 배열의 크기가 다르다면, 짦은 배열 크기 기준으로 나머지는 버려집니다. 주의해야합니다!
'삽집하는 개발들 > 알고리즘' 카테고리의 다른 글
[52일차][Lv2][프로그래머스][월간 코드 챌린지 시즌1][70129]이진 변환 반복하기 (0) | 2023.09.05 |
---|---|
[52일차][Lv2][프로그래머스][12909]올바른 괄호 (0) | 2023.09.05 |
[50일차][Lv2][프로그래머스][12951]JadenCase 문자열 만들기 (2) | 2023.09.03 |
[49일차][Lv2][프로그래머스][12939]최댓값과 최솟값 (4) | 2023.08.29 |
[49일차][Lv1][프로그래머스][132267]콜라 문제 (0) | 2023.08.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