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문제 설명
피보나치 수는 F(0) = 0, F(1) = 1일 때, 1 이상의 n에 대하여 F(n) = F(n-1) + F(n-2) 가 적용되는 수 입니다.
예를들어
F(2) = F(0) + F(1) = 0 + 1 = 1
F(3) = F(1) + F(2) = 1 + 1 = 2
F(4) = F(2) + F(3) = 1 + 2 = 3
F(5) = F(3) + F(4) = 2 + 3 = 5
와 같이 이어집니다.
2 이상의 n이 입력되었을 때, n번째 피보나치 수를 1234567으로 나눈 나머지를 리턴하는 함수, solution을 완성해 주세요.
제한 사항
n은 2 이상 100,000 이하인 자연수입니다.
입출력
n | return |
3 | 2 |
5 | 5 |
코드 및 설명
def solution(n):
check_arr = [0, 1]
for idx in range(2, n+1):
check_arr.append(check_arr[idx-2] + check_arr[idx-1])
return max(check_arr) % 1234567
F(0) = 0 , F(1) = 1인걸 알기 때문에 check_arr [0,1]를 넣어주고 그다음 F(2)의 값을 구해서 배열에 n번째 피보나치 수까지 저장을 한다. 그럼 마지막 제일 큰 수가 해당 F(n)의 값을 알게 된다.
* 여기서 주의점이 int의 크기가 –2,147,483,648 ~ 2,147,483,647인데 테스트 범위에서 이걸 넘어가는 테스트가 있다. 그러므로 n번째 피보나치 수를 1234567으로 나눈 나머지를 리턴하는 함수 이부분이 추가 되어있는 이유가 int의 범위를 벗어나기 때문이다.
반응형
'삽집하는 개발들 > 알고리즘' 카테고리의 다른 글
[57일차][Lv2][프로그래머스][완전탐색][42842]카펫 (6) | 2023.09.16 |
---|---|
[56일차][Lv2][프로그래머스][2017 팁스타운][12973]짝지어 제거하기 (7) | 2023.09.14 |
[54일차][Lv2][프로그래머스][12911]다음 큰 숫자 (6) | 2023.09.08 |
[53일차][Lv2][프로그래머스][12924]숫자의 표현 (8) | 2023.09.07 |
[52일차][Lv2][프로그래머스][월간 코드 챌린지 시즌1][70129]이진 변환 반복하기 (0) | 2023.09.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