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문제 설명
두 수의 최소공배수(Least Common Multiple)란 입력된 두 수의 배수 중 공통이 되는 가장 작은 숫자를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2와 7의 최소공배수는 14가 됩니다. 정의를 확장해서, n개의 수의 최소공배수는 n 개의 수들의 배수 중 공통이 되는 가장 작은 숫자가 됩니다. n개의 숫자를 담은 배열 arr이 입력되었을 때 이 수들의 최소공배수를 반환하는 함수, solution을 완성해 주세요.
제한 사항
arr은 길이 1이상, 15이하인 배열입니다.
arr의 원소는 100 이하인 자연수입니다.
입출력
arr | result |
[2,6,8,14] | 168 |
[1,2,3] | 6 |
코드 및 설명
def check(arr, len_arr, count):
max_number = max(arr)
check_arr = []
for number in arr:
if (max_number*count) % number == 0:
check_arr.append(0)
if len_arr == len(check_arr):
return max_number*count
else:
return -1
def solution(arr):
len_arr = len(arr)
count = 2
while True:
result = check(arr, len_arr, count)
if result != -1:
return result
else:
count += 1
요즘 자꾸 알고리즘 풀때 너무 어렵게 생각을 하는 것 같다. 이 문제도 예를 들어 2 6 8 14 이면 이 수들의 배수가 같아지는 수를 찾으면 되는 건데, 처음에 전부 배수를 구하면서 같은 걸 확인하려고 했었다. 생각해보니 결국 제일 큰 수가 배수로 늘어나면서 작은 수들을 나눴을 때 0으로 전부 떨어지면 그 수가 최소공배수가 되는 것이다. 그래서 위와 같은 코드가 나오게 되었다. 정답 맞추고 난 후 다른 사람의 풀이를 보니
from fractions import gcd
def nlcm(num):
answer = num[0]
for n in num:
answer = n * answer / gcd(n, answer)
return answer
GCD 함수는 두 개 이상의 정수의 최대 공약수를 구해준다. 위에서 보는 바와 같이 내가 위에 짠 코드보다 훨씬 간결하게 나온다.
반응형
'삽집하는 개발들 > 알고리즘' 카테고리의 다른 글
[63일차][Lv0][프로그래머스][120871]저주의 숫자3 (97) | 2023.10.07 |
---|---|
[63일차][Lv2][프로그래머스][12914]멀리 뛰기 (62) | 2023.10.07 |
[61일차][Lv2][프로그래머스][2017 팁스타운예상][12985]대진표 (159) | 2023.09.28 |
[60일차][Lv2][프로그래머스][Summer/Winter Coding(~2018)][12980]점프와 순간 이동 (176) | 2023.09.25 |
[59일차][Lv2][프로그래머스][탐욕법(Greedy)][42885]구명보트 (110) | 2023.09.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