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 설명
스택 (stack)은 기본적인 자료구조 중 하나로, 컴퓨터 프로그램을 작성할 때 자주 이용되는 개념이다. 스택은 자료를 넣는 (push) 입구와 자료를 뽑는 (pop) 입구가 같아 제일 나중에 들어간 자료가 제일 먼저 나오는 (LIFO, Last in First out) 특성을 가지고 있다.
1부터 n까지의 수를 스택에 넣었다가 뽑아 늘어놓음으로써, 하나의 수열을 만들 수 있다. 이때, 스택에 push하는 순서는 반드시 오름차순을 지키도록 한다고 하자. 임의의 수열이 주어졌을 때 스택을 이용해 그 수열을 만들 수 있는지 없는지, 있다면 어떤 순서로 push와 pop 연산을 수행해야 하는지를 알아낼 수 있다. 이를 계산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라.
입력
첫 줄에 n (1 ≤ n ≤ 100,000)이 주어진다. 둘째 줄부터 n개의 줄에는 수열을 이루는 1이상 n이하의 정수가 하나씩 순서대로 주어진다. 물론 같은 정수가 두 번 나오는 일은 없다.
출력
입력된 수열을 만들기 위해 필요한 연산을 한 줄에 한 개씩 출력한다. push연산은 +로, pop 연산은 -로 표현하도록 한다. 불가능한 경우 NO를 출력한다.
예제 입력, 예제 출력
8 4 3 6 8 7 5 2 1 |
+ + + + - - + + - + + - - - - - |
5 1 2 5 3 4 |
NO |
코드 및 설명
import sys
n = int(sys.stdin.readline())
n_arr = []
answer = []
count = 1
for i in range(n):
a = int(sys.stdin.readline())
while count <= a:
n_arr.append(count)
answer.append("+")
count += 1
if n_arr[-1] == a:
answer.append("-")
n_arr.pop()
if len(n_arr) == 0:
print("\n".join(answer))
else:
print("NO")
처음 이 문제를 봤을 때 스택 문제인 건 알겠는 데 예제보고 저게 도대체 뭐지??? 무슨 말인지 이해할 수 없었다...
힌트를 얻고자 예제에 대한 풀이를 조금 보았다. 그리고 비로소 이해했다...
예제 처음껄로 설명을 해보겠다.
n = 8 입력 받을 수열의 수
두번째 줄에 나오는 건 수열들이다.
처음 4가 주어지는 데
스택에 [1, 2, 3, 4] 를 차례로 넣는 데 마지막 배열의 값이 4와 같으면 pop
a = 4
count = 5
n_arr = [1, 2, 3]
될 것이다.
그 다음 수인 3이 주어지면
count가 a보다 크기 때문에 while문엔 돌지 않고 if 문에서 마지막 배열이 a인지 체크하고 pop
a = 3
count = 5
n_arr = [1, 2]
그 다음 수인 6이 주어지면
a = 6
count = 7
n_arr = [ 1, 2, 5 ]
그 다음 수인 8이 주어지면
a = 8
count = 8
n_arr = [ 1, 2, 5, 7 ]
그 다음 수 인 7이 주어지면
a = 7
count = 8
n_arr = [1, 2, 5]
그 다음 수인 5가 주어지면
a = 5
count = 8
n_arr = [1, 2 ]
그 다음 수인 2
a = 2
count = 8
n_arr = [1]
그 다음 수인 1
a = 1
count = 8
n_arr = []
n_arr는 비어지게 된다.
n_arr가 비어있으면 성공적으로 완료 수행이 가능한 것이기 때문에 answer에 있는 것을 출력해주면 된다.
만약 n_arr가 비어있지않다면 수행이 불가능한 것이기 때문에 NO를 출력해주면 된다.
'삽집하는 개발들 > 알고리즘' 카테고리의 다른 글
[86일차][백준][자료구조, 큐][1158]요세푸스 문제 (3) | 2023.12.03 |
---|---|
[85일차][백준][자료구조, 큐][10845]큐 (3) | 2023.12.02 |
[83일차][백준][자료구조, 구현, 문자열][1406]에디터 (5) | 2023.11.30 |
[82일차][백준][자료구조, 구현, 문자열][9012]괄호 (3) | 2023.11.29 |
[82일차][백준][구현, 문자열][9093]단어 뒤집기 (2) | 2023.11.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