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 설명
여러 개의 쇠막대기를 레이저로 절단하려고 한다. 효율적인 작업을 위해서 쇠막대기를 아래에서 위로 겹쳐 놓고, 레이저를 위에서 수직으로 발사하여 쇠막대기들을 자른다. 쇠막대기와 레이저의 배치는 다음 조건을 만족한다.
쇠막대기는 자신보다 긴 쇠막대기 위에만 놓일 수 있다. - 쇠막대기를 다른 쇠막대기 위에 놓는 경우 완전히 포함되도록 놓되, 끝점은 겹치지 않도록 놓는다.
각 쇠막대기를 자르는 레이저는 적어도 하나 존재한다.
레이저는 어떤 쇠막대기의 양 끝점과도 겹치지 않는다.
아래 그림은 위 조건을 만족하는 예를 보여준다. 수평으로 그려진 굵은 실선은 쇠막대기이고, 점은 레이저의 위치, 수직으로 그려진 점선 화살표는 레이저의 발사 방향이다.
이러한 레이저와 쇠막대기의 배치는 다음과 같이 괄호를 이용하여 왼쪽부터 순서대로 표현할 수 있다.
1. 레이저는 여는 괄호와 닫는 괄호의 인접한 쌍 ‘( ) ’ 으로 표현된다. 또한, 모든 ‘( ) ’는 반드시 레이저를 표현한다.
2. 쇠막대기의 왼쪽 끝은 여는 괄호 ‘ ( ’ 로, 오른쪽 끝은 닫힌 괄호 ‘) ’ 로 표현된다.
위 예의 괄호 표현은 그림 위에 주어져 있다.
쇠막대기는 레이저에 의해 몇 개의 조각으로 잘려지는데, 위 예에서 가장 위에 있는 두 개의 쇠막대기는 각각 3개와 2개의 조각으로 잘려지고, 이와 같은 방식으로 주어진 쇠막대기들은 총 17개의 조각으로 잘려진다.
쇠막대기와 레이저의 배치를 나타내는 괄호 표현이 주어졌을 때, 잘려진 쇠막대기 조각의 총 개수를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입력
한 줄에 쇠막대기와 레이저의 배치를 나타내는 괄호 표현이 공백없이 주어진다. 괄호 문자의 개수는 최대 100,000이다.
출력
잘려진 조각의 총 개수를 나타내는 정수를 한 줄에 출력한다.
예제 입력, 예제 출력
()(((()())(())()))(()) | 17 |
(((()(()()))(())()))(()()) | 24 |
코드 및 설명
import sys
n = sys.stdin.readline()
laser = []
stack = []
answer = 0
for i in range(len(n)):
if n[i] == "(":
stack.append(i)
laser.append(0)
if n[i] == ")":
pop = stack.pop()
if n[i-1] == "(":
laser.append(1)
else:
laser.append(0)
answer += sum(laser[pop:i]) + 1
print(answer)
이 문제는 지문을 보고 이게 뭐지? 하고 당황했다가 잘 읽어보니, 스택으로 풀면 풀리겠다 생각했다.
일단 머리에서 나오는 대로 짜보았는 데 80%정도까지 채점이 되다가 시간초과로 실패했다. 아마 최대 100,000 개수 조건
에서 걸리는 것 같다.
laser에 append를 10만번 하게 되니까 느려지는 것도 있고, sum에서도 느려질 것 같다.
일단 위에 코드를 설명하자면
()(((()())(())()))(())
(
stack = [0]
() -> 여기선 ')' 만났을 때 스택을 비워주고, 비웠을 때 바로 전의 값이 "("이면 laser.append(1)을 해준다.
stack = []
()(((( -> ( 만 나오기때문에 stack 넣어주고 laser는 없기때문에 0으로 계속 넣어준다.
stack = [2,3,4,5]
()(((() -> ')' 만나게 된다. 이게 레이져인지 아니면 쇠막대기의 지점인지 확인하기 위에 바로 전 값이 "("인지 확인하고
laser.append(1)을 진행해준다.
stack = [2,3,4]
()(((()(
stack = [2,3,4,7]
()(((()() -> ')' 만나게 되고, 레이져이기때문에 위와 같은 행위 반복
stack = [2,3,4]
()(((()()) -> ')' 만나게 되는데 여기서 바로 전 값이 '(' 아니기 때문에 레이져가 아니다. 그러므로, pop한 데이터와 현재까지 확인한 i값을 가지고 laser에 sum을 해주고 +1을 해준다.
stack = [2,3]
위와 같이 반복하면 답이 나온다. 하지만 위에서도 말했듯이 시간 초과가 뜬다. 그래서 다시 코드를 짜보았다.
import sys
n = sys.stdin.readline()
stack = []
answer = 0
for i, char in enumerate(n):
if char == "(":
stack.append(i)
if char == ")":
if stack:
pop = stack.pop()
if i - pop == 1:
answer += len(stack)
else:
answer += 1
print(answer)
if문의 똑같고 레이저를 만났을 때 stack쌓인 값이 막대기를 개수가 되고, 레이저가 아닐땐 1씩 증가시켜주면 값을 구할 수 있다.
'삽집하는 개발들 > 알고리즘' 카테고리의 다른 글
[91일차][백준][수학][2869]달팽이는 올라가고 싶다 (49) | 2023.12.08 |
---|---|
[90일차][백준][자료구조, 스택][17298]오큰수 (6) | 2023.12.07 |
[89일차][백준][수학, 사칙연산][1546]평균 (4) | 2023.12.06 |
[88일차][백준][수학, 사칙연산, 구현][10430]나머지 (4) | 2023.12.05 |
[87일차][백준][자료구조, 문자열, 스택][17413]단어 뒤집기 2 (5) | 2023.12.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