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 설명
1742년, 독일의 아마추어 수학가 크리스티안 골드바흐는 레온하르트 오일러에게 다음과 같은 추측을 제안하는 편지를 보냈다.
4보다 큰 모든 짝수는 두 홀수 소수의 합으로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8은 3 + 5로 나타낼 수 있고, 3과 5는 모두 홀수인 소수이다. 또, 20 = 3 + 17 = 7 + 13, 42 = 5 + 37 = 11 + 31 = 13 + 29 = 19 + 23 이다.
이 추측은 아직도 해결되지 않은 문제이다.
백만 이하의 모든 짝수에 대해서, 이 추측을 검증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입력
입력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테스트 케이스로 이루어져 있다. 테스트 케이스의 개수는 100,000개를 넘지 않는다.
각 테스트 케이스는 짝수 정수 n 하나로 이루어져 있다. (6 ≤ n ≤ 1000000)
입력의 마지막 줄에는 0이 하나 주어진다.
출력
각 테스트 케이스에 대해서, n = a + b 형태로 출력한다. 이때, a와 b는 홀수 소수이다. 숫자와 연산자는 공백 하나로 구분되어져 있다. 만약, n을 만들 수 있는 방법이 여러 가지라면, b-a가 가장 큰 것을 출력한다. 또, 두 홀수 소수의 합으로 n을 나타낼 수 없는 경우에는 "Goldbach's conjecture is wrong."을 출력한다.
예제 입력, 예제 출력
3 16 | 3 5 7 11 13 |
코드 및 설명
import sys
import math
arr = [ True ] * 1000001
for i in range(2, int(math.sqrt(1000001))+1):
if arr[i] == True:
for j in range(i+i, 1000001, i):
arr[j] = False
while True:
n = int(sys.stdin.readline())
check = 0
if n == 0:
break
else:
for i in range(3, len(arr)):
if arr[i] and arr[n-i]:
print(f"{n} = {i} + {n-i}")
check = 1
break
if check == 0:
print("Goldbach's conjecture is wrong.")
이 문제는 에라토스테네스의 체를 이용하여 풀었다.
먼저 테스트 케이스의 길이가 (6 ≤ n ≤ 1000000)이라는 걸 보면 시간초과에 걸릴 확률이 아주 높다는 얘기가 된다.
그러므로 최대한 시간복잡도를 O(1)에 가깝게 만들어야한다.
arr에 1000001의 True값을 가진 배열을 만들어준다.
그 뒤 1000001까지 해당 약수의 값의 배수들을 False시켜준다. 그러면 범위 내에 있는 약수를 구할 수 있게 된다.
while문을 이용하여
테스트 케이스를 입력 받는다.
예제로 설명을 해보겠다.
8이 들어오면
0이 아니기 때문에 for문을 타게 되고, 3부터 arr의 길이(1000001)만큼 도는 데 arr[i]값이 True이고 arr[n-i]값도 True이면
8이 되기때문에 멈춰준다.
3이 들어왔을 때 arr[3] 약수이기때문에 True일 것이고, 8-3 = arr[5]도 True이다. <-- 이 부분을 이해해야한다.
그럼 8 = 3 + 5 가 되기때문에 출력해주면 된다. 전부 다 돌았는 데도 check값이 0 이면
print("Goldbach's conjecture is wrong.") 해주면 된다!
'삽집하는 개발들 > 알고리즘' 카테고리의 다른 글
[102일차] 1로 만들기 - 백준 - 1463(python - 다이나믹 프로그래밍) (22) | 2023.12.21 |
---|---|
[101일차] 팩토리얼 0의 개수 - 백준 - 1676(python - 수학) (1) | 2023.12.20 |
[99일차] 소수 구하기 - 백준 - 1929(python - 정수론, 소수 판정, 에라토스테네스의 체) (0) | 2023.12.18 |
[99일차] 소수 찾기 - 백준 - 1978(python - 정수론, 소수 판정) (2) | 2023.12.18 |
[98일차] 최소공배수 - 백준 - 1934(python - 정수론, 유클리드 호제법) (18) | 2023.12.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