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3문제 설명
햄버거 가게에서 일하는 종현이는 햄버거를 만드는 일을 하고 있다. 가게에는 햄버거 빵이 A개, 햄버거 패티가 B개 있는데, 이 빵과 패티를 가지고 최대한 햄버거를 많이 만드려고 한다. 햄버거를 만드는 과정은 아주 간단한 세 단계로 이루어져 있다.
1. 그릇 위에 빵을 놓는다.
2. 빵 위에 패티를 올린다.
3. 패티 위에 다시 빵을 올려서 햄버거를 완성시킨다.
햄버거 빵 A개와 햄버거 패티 B개로 만들 수 있는 햄버거의 최대 개수는 얼마일까? 단, 햄버거 빵은 위에 놓는 빵과 아래에 놓는 빵의 구분이 없으며, 남는 빵이나 패티가 있어도 된다.
입력
첫째 줄에 햄버거 빵의 개수와 햄버거 패티의 개수를 의미하는 A, B (1 <= A, B <= 100)가 주어진다.
출력
만들 수 있는 햄버거의 최대 개수를 출력한다.
예제 입력, 예제 출력
6 3 | 3 |
5 4 | 2 |
1 7 | 0 |
코드 및 설명
a, b = map(int, input().split(" "))
count = 0
for i in range(b):
if a <= 1:
break
else:
b -= 1
a -= 2
count += 1
print(count)
오랜만에 문제를 풀어보았다. 아주 간단한 문제로 잠시 시간을 내어 풀어보았다. 다음에는 난이도가 좀 있는 문제로 풀어야
겠다. 이 문제는 햄버거 하나를 만들기 위해선 빵2개와 패티 1개가 필요하며, 햄버거를 최대 몇개 만들 수 있냐는 문제이다.
여기서 나는 패티를 기준으로 잡았다. 패티를 하나씩 뺴고 빵을 2개 뺐을 때 빵이 1보다 작거나 같게 되면 더 이상 빵을
만들 수 없기 때문에 반복해주면 끝이다.
반응형
'삽집하는 개발들 > 알고리즘' 카테고리의 다른 글
[114일차] 상수 - 백준 - 2908(python - 수학, 구현) (66) | 2024.01.28 |
---|---|
[113일차] 진법 변환 - 백준 - 2745(python - 수학, 구현, 문자) (62) | 2024.01.27 |
[112일차] 팰린드롬인지 확인하기 - 백준 - 10988(python - 문자열, 구현) (60) | 2024.01.26 |
[111일차] 진법 변환 2 - 백준 - 11005(python - 수학, 구현) (54) | 2024.01.21 |
[110일차] -2진수 - 백준 - 2089(python - 수학, 정수론) (60) | 2024.01.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