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 설명
비내림차순으로 정렬된 수열이 주어질 때, 다음 조건을 만족하는 부분 수열을 찾으려고 합니다.
기존 수열에서 임의의 두 인덱스의 원소와 그 사이의 원소를 모두 포함하는 부분 수열이어야 합니다.
부분 수열의 합은 k입니다.
합이 k인 부분 수열이 여러 개인 경우 길이가 짧은 수열을 찾습니다.
길이가 짧은 수열이 여러 개인 경우 앞쪽(시작 인덱스가 작은)에 나오는 수열을 찾습니다.
수열을 나타내는 정수 배열 sequence와 부분 수열의 합을 나타내는 정수 k가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 위 조건을 만족하는 부분 수열의 시작 인덱스와 마지막 인덱스를 배열에 담아 return 하는 solution 함수를 완성해주세요. 이때 수열의 인덱스는 0부터 시작합니다.
제한 사항
5 ≤ sequence의 길이 ≤ 1,000,000
1 ≤ sequence의 원소 ≤ 1,000
sequence는 비내림차순으로 정렬되어 있습니다.
5 ≤ k ≤ 1,000,000,000
k는 항상 sequence의 부분 수열로 만들 수 있는 값입니다.
입출력
sequence | k | return |
[1, 2, 3, 4, 5] | 7 | [2, 3] |
[1, 1, 1, 2, 3, 4, 5] | 5 | [6, 6] |
[2, 2, 2, 2, 2] | 6 | [0, 2] |
코드 및 설명
def solution(sequence, k):
len_sequence = len(sequence)
left = 0
right = 0
check_sum = 0
check_arr = []
while True:
if check_sum < k:
if right >= len_sequence:
break
check_sum = check_sum + sequence[right]
right += 1
else:
if left > len_sequence:
break
left += 1
right = left
check_sum = 0
if check_sum == k:
check_arr.append([left, right-1])
check_arr.sort(key=lambda x: (x[1]-x[0], x[0]))
return check_arr[0]
처음에 누적합으로 풀려고 했으나, 하다보니 벽에 부딪혀... 투포인트 알고리즘으로 변경하였다.
left를 기준으로 right가 한 칸씩 움직이면서 합을 더하고, 만약 right가 len_sequence에 도달하면 left를 다시 한칸 이동시키고 right가 또 한칸씩 움직이면 합을 더 한다. 그 합이 k와 같을 때 check_arr에 담는다. 근데 이거도 속도가 느리다... 아마 전부 다 더하는 행위 때문에 그런 것 같은데 아!!! 이글 적으면서 생각이 났다... left가 한칸 이동하기 전에 첫번째 돌때 sum안에는 0~4번까지의 합이 들어있다 왜냐 k보다 check_sum이 크면 else 문을 타는 데 이때
def solution(sequence, k):
len_sequence = len(sequence)
left = 0
right = 0
check_sum = 0
check_arr = []
while True:
if check_sum < k:
if right >= len_sequence:
break
check_sum = check_sum + sequence[right]
right += 1
else:
if left > len_sequence:
break
check_sum -= sequence[left]
left += 1
if check_sum == k:
check_arr.append([left, right-1])
check_arr.sort(key=lambda x: (x[1]-x[0], x[0]))
return check_arr[0]
이때 check_sum -= sequence[left]를 하게 되면 check_sum이 10에서 sequence[1] = 1이므로 여기서 뺴주면 9 또한 k보다 크기때문에 다시 else문에 타고 여기서 sequence[2] = 2 이고 9 - 2 빼주면 7이 나오게 된다. 그럼 7은 k와 같기 때문에 left는 지금 2까지 올라간 상태고 right 4인 상태인데 right에서 -1을 빼줘야 범위가 나오게 된다. 그러므로 [2,3]이 나오게 되는 것이다.
'삽집하는 개발들 > 알고리즘' 카테고리의 다른 글
[77일차][백준][누적합][2559]수열 (49) | 2023.11.20 |
---|---|
[76일차][백준][누적합][11659]구간 합 구하기 4 (3) | 2023.11.19 |
[74일차][Lv2][프로그래머스][누적합][178870]연속된 부분 수열의 합 (6) | 2023.11.12 |
[알고리즘 공부 방식 변경] (0) | 2023.11.12 |
[74일차][Lv0][프로그래머스][누적합][120923]연속된 수의 합 (0) | 2023.11.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