삽집하는 개발들/알고리즘

[66일차][Lv0][프로그래머스][120585,120854,120814]머쓱이보다 키 큰 사람, 배열 원소의 길이,피자 나눠 먹기 (1)

악투 2023. 10. 16. 01:29
반응형

문제 설명

머쓱이는 학교에서 키 순으로 줄을 설 때 몇 번째로 서야 하는지 궁금해졌습니다. 머쓱이네 반 친구들의 키가 담긴 정수 배열 array와 머쓱이의 키 height가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 머쓱이보다 키 큰 사람 수를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보세요.

 

제한 사항

1 ≤ array의 길이 ≤ 100
1 ≤ height ≤ 200
1 ≤ array의 원소 ≤ 200

 

입출력

elements height result
[149, 180, 192, 170] 167 3
[180, 120, 140] 190 0

 

코드 및 설명

def solution(array, height):
    return len([ check_height for check_height in array if check_height > height])

프로그래머스에 보면 AI 문재 해결 분석 리포트가 있는 데 여기서 이런 류들을 풀어줘야 점수가 오른다고 하여 몇개 풀어보았다. 거의 기초다. 입문문제들이다!! 역시 기초가 중요하지!!ㅋㅋㅋ

이 문제는 저 배열 안에 키의 값들이 들어있는 데 기준이 되는 키 height 값보다 큰 것이 몇개인지 찾는 문제이다. 기준이 되는 키보다 큰 키만 배열 안에 넣고 길이를 세서 정답을 풀었다.

 

-----------------------------------------------------------------------------------------------------------------------------------------------------------------

 

문제 설명

문자열 배열 strlist가 매개변수로 주어집니다. strlist 각 원소의 길이를 담은 배열을 retrun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주세요.

 

제한 사항

1 ≤ strlist 원소의 길이 ≤ 100
strlist는 알파벳 소문자, 대문자, 특수문자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입출력

strlist result
["We", "are", "the", "world!"] [2, 3, 3, 6]
["I", "Love", "Programmers."] [1, 4, 12]

 

코드 및 설명

def solution(strlist):
    return [ len(string) for string in strlist ]

이 문제는 배열 안에 있는 문자열의 길이를 반환하는 것이다. strlist에 있는 문자열들을 하나씩 가져와서 해당 문자열의 길이를 다시 배열에 담는다. 그러면 끝이다!!!

 

-----------------------------------------------------------------------------------------------------------------------------------------------------------------

 

문제 설명

머쓱이네 피자가게는 피자를 일곱 조각으로 잘라 줍니다. 피자를 나눠먹을 사람의 수 n이 주어질 때, 모든 사람이 피자를 한 조각 이상 먹기 위해 필요한 피자의 수를 return 하는 solution 함수를 완성해보세요.

 

제한 사항

1 ≤ n ≤ 100

 

입출력

n result
7 1
1 1
15 3

 

코드 및 설명

def solution(n):
    return int(n/7)+1 if n % 7 != 0 else int(n/7)

이 문제는 피자 한판의 조각이 7조각이라는 걸 생각하면 된다. 인원수가 모두 한조각을 먹으려면 인원수 / 7 인데 n% 7 != 0 아니면 한판의 피자가 더 필요하게 되니까 int(n/7)+1을 해주면 되고 0으로 떨어지면 int(n/7)을 해주면 된다. int로 형변환을 해준 이유는 나눴을 때 소수가 나오기때문에 정수로 바꿔주려고 형변환을 한 것이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