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 설명
XYZ 마트는 일정한 금액을 지불하면 10일 동안 회원 자격을 부여합니다. XYZ 마트에서는 회원을 대상으로 매일 한 가지 제품을 할인하는 행사를 합니다. 할인하는 제품은 하루에 하나씩만 구매할 수 있습니다. 알뜰한 정현이는 자신이 원하는 제품과 수량이 할인하는 날짜와 10일 연속으로 일치할 경우에 맞춰서 회원가입을 하려 합니다.
예를 들어, 정현이가 원하는 제품이 바나나 3개, 사과 2개, 쌀 2개, 돼지고기 2개, 냄비 1개이며, XYZ 마트에서 15일간 회원을 대상으로 할인하는 제품이 날짜 순서대로 치킨, 사과, 사과, 바나나, 쌀, 사과, 돼지고기, 바나나, 돼지고기, 쌀, 냄비, 바나나, 사과, 바나나인 경우에 대해 알아봅시다. 첫째 날부터 열흘 간에는 냄비가 할인하지 않기 때문에 첫째 날에는 회원가입을 하지 않습니다. 둘째 날부터 열흘 간에는 바나나를 원하는 만큼 할인구매할 수 없기 때문에 둘째 날에도 회원가입을 하지 않습니다. 셋째 날, 넷째 날, 다섯째 날부터 각각 열흘은 원하는 제품과 수량이 일치하기 때문에 셋 중 하루에 회원가입을 하려 합니다.
정현이가 원하는 제품을 나타내는 문자열 배열 want와 정현이가 원하는 제품의 수량을 나타내는 정수 배열 number, XYZ 마트에서 할인하는 제품을 나타내는 문자열 배열 discount가 주어졌을 때, 회원등록시 정현이가 원하는 제품을 모두 할인 받을 수 있는 회원등록 날짜의 총 일수를 return 하는 solution 함수를 완성하시오. 가능한 날이 없으면 0을 return 합니다.
제한 사항
1 ≤ want의 길이 = number의 길이 ≤ 10
1 ≤ number의 원소 ≤ 10
number[i]는 want[i]의 수량을 의미하며, number의 원소의 합은 10입니다.
10 ≤ discount의 길이 ≤ 100,000
want와 discount의 원소들은 알파벳 소문자로 이루어진 문자열입니다.
1 ≤ want의 원소의 길이, discount의 원소의 길이 ≤ 12
입출력
want | number | discount | result |
["banana", "apple", "rice", "pork", "pot"] | [3, 2, 2, 2, 1] | ["chicken", "apple", "apple", "banana", "rice", "apple", "pork", "banana", "pork", "rice", "pot", "banana", "apple", "banana"] | 3 |
["apple"] | [10] | ["banana", "banana", "banana", "banana", "banana", "banana", "banana", "banana", "banana", "banana"] | 0 |
코드 및 설명
def solution(want, number, discount):
want_obj = {}
answer = 0
# 정현이가 원하는 제품의 개수 합치기.
for idx in range(len(want)):
want_obj[want[idx]] = number[idx]
for idx in range(len(discount)):
check_count = 0
#하루마다 discount의 목록 재정의하고, 개수를 저장해준다.
check_list_obj = { product: 0 for product in discount[idx:idx+10] }
for product in discount[idx:idx+10]:
check_list_obj[product] += 1
# 여기서 제품을 전부 다 구매할 수 있는 회원가입날의 수를 구하기 위해 작업.
for product, count in want_obj.items():
if product in check_list_obj.keys():
if check_list_obj[product] >= count:
check_count += 1
else:
pass
# 원하는 제품의 수와 체크한 수가 동일하면 회원가입해도 되는 날이므로 정답 카운트 + 1
if check_count == len(want):
answer += 1
return answer
이 문제는 알뜰한 정현이가 자기가 원하는 제품을 전부 사려고 하는 데 매장이 제품들이 매일 할인하는게 바뀐다. 회원가입을 해야만 할인을 받을 수 있는 데 회원가입 후 10일만 할인이 유지된다. 그러므로, 자기가 원하는 제품이 전부 구매 가능한 날짜에 회원가입을 하려고 하는 데, 구입가능한 회원가입날이 몇 건이 되는 지를 구하는 것이다.
위에 코드에 설명이 있듯이 먼저 정현이가 원하는 제품과 개수를 dict으로 만들고, 10일의 할인 기간이 있기 때문에 처음 할인 하는 날부터 +10 다음날 +10 이런식으로 반복하면서, 제품을 다 구매할 수 있는 날의 카운트를 센다. 음.. 저기 코드를 뭔가 리팩토링이 충분히 가능할 것 같은 데...(참고로 Counter 라이브러리 쓰면 좀 편함. 하지만 안 쓰려고 했음.)
카운트를 세고 원하는 제품의 개수와 check_count의 값이 같으면 answer + 1를 해주면 답이 나온다!
'삽집하는 개발들 > 알고리즘' 카테고리의 다른 글
[70일차][Lv2][프로그래머스][깊이/너비 우선 탐색(DFS/BFS][43165]타겟 넘버 (56) | 2023.10.28 |
---|---|
[69일차][Lv2][프로그래머스][월간 코드 챌린지 시즌3][87390]n^2 배열 자르기 (60) | 2023.10.24 |
[66일차][Lv0][프로그래머스][120585,120854,120814]머쓱이보다 키 큰 사람, 배열 원소의 길이,피자 나눠 먹기 (1) (66) | 2023.10.16 |
[65일차][Lv2][프로그래머스][131701]연속 부분 수열 합의 개수 (181) | 2023.10.11 |
[64일차][Lv2][프로그래머스][138476]귤 고르기 (180) | 2023.10.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