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 설명
정수 n, left, right가 주어집니다. 다음 과정을 거쳐서 1차원 배열을 만들고자 합니다.
n행 n열 크기의 비어있는 2차원 배열을 만듭니다.
i = 1, 2, 3, ..., n에 대해서, 다음 과정을 반복합니다.
1행 1열부터 i행 i열까지의 영역 내의 모든 빈 칸을 숫자 i로 채웁니다.
1행, 2행, ..., n행을 잘라내어 모두 이어붙인 새로운 1차원 배열을 만듭니다.
새로운 1차원 배열을 arr이라 할 때, arr[left], arr[left+1], ..., arr[right]만 남기고 나머지는 지웁니다.
정수 n, left, right가 매개변수로 주어집니다. 주어진 과정대로 만들어진 1차원 배열을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주세요.
제한 사항
1 ≤ n ≤ 107
0 ≤ left ≤ right < n2
right - left < 105
입출력
n | left | right | result |
3 | 2 | 5 | [3, 2, 2, 3] |
4 | 7 | 14 | [4, 3, 3, 3, 4, 4, 4, 4] |
코드 및 설명
def solution(n, left, right):
check_arr = []
for idx1 in range(1, n+1):
for idx2 in range(1, n+1):
if idx1 >= idx2:
check_arr.append(idx1)
else:
check_arr.append(idx2)
return check_arr[left:right+1]
이 문제는 n의 수 만큼 정사각형이 만들어지고, 그 안의 수가 위아래 왼쪽 오른쪽 중 하나라도 늘어난 다면 처음 시작점인 1에서 하나씩 늘어나게 되면서 숫자를 채워나가는 데 위에 그림처럼 된다. 1행,2행,3행을 나누고 그걸 1행,2행,3행 순서로 한줄로 만든 다음, left의 수부터 right수까지 배열에서 가져오면 끝난다. 아마 코드보단 효율 시간초과가 안 나게 만드는 게 핵심인 것 같은데... 처음 코드는 시간초과가 아주 많이 났다...
그래서 코드를 리팩토링하는 데 일단 생각한게 결국 left부터 right의 길이만큼만 배열을 가져오면 되기 때문에, 끝까지 다 돌 필요 없다고 생각하여, 작업하였으나 12~20까지 시간 초과가 난다...
def solution(n, left, right):
check_arr = []
for idx1 in range(1, n+1):
for idx2 in range(1, n+1):
if idx1 >= idx2:
check_arr.append(idx1)
else:
check_arr.append(idx2)
if len(check_arr) >= right:
break
return check_arr[left:right+1]
def solution(n, left, right):
check_arr = []
left_n = int(left / n)+1
right_n = int(right / n)+1
range_left = left-((left_n-1)*n)
range_right = range_left + (right-left) + 1
for idx1 in range(left_n, right_n+1):
for idx2 in range(1, n+1):
if idx1 >= idx2:
check_arr.append(idx1)
else:
check_arr.append(idx2)
return check_arr[range_left:range_right]
음... 생각을 다시 한게 결국에 left~right 사이의 값만 알면 되기 때문에, for문에서 left의 값이 존재하는 행부터 right의 값이 존재하는 행까지만 돌면 여기서 값만 추출해내면 끝인거다. 그러므로 앞으로 뒤로 불 필요하게 더 돌 필요가 없게 되어, 시간 초과도 안 나오고 효율도 좋아진다. range_left같은 경우는 left가 나오는 행이 만약 1,2,3,4행 중 2번행이라면 1번행만큼을 빼줘야 기존 left에서 범위가 1행만큼 줄었기 때문에 그 위치값을 다시 설정해주기 위해서 한 것이고, range_right값은 left값과 right의 차이만큼 늘어나면 되기 때문에 했고 +1은 해당 배열까지의 범위를 가져와야하기 때문에 추가 한 것.
조금 어렵게 푼 것 같다..;; 다른 사람 풀이 보니까 미쳤다.. 한줄도 되네.. .하하 아직 멀었구나...
'삽집하는 개발들 > 알고리즘' 카테고리의 다른 글
[71일차][Lv2][프로그래머스][정렬][42747]H-Index (7) | 2023.11.03 |
---|---|
[70일차][Lv2][프로그래머스][깊이/너비 우선 탐색(DFS/BFS][43165]타겟 넘버 (56) | 2023.10.28 |
[68일차][Lv2][프로그래머스][131127]할인 행사 (37) | 2023.10.21 |
[66일차][Lv0][프로그래머스][120585,120854,120814]머쓱이보다 키 큰 사람, 배열 원소의 길이,피자 나눠 먹기 (1) (66) | 2023.10.16 |
[65일차][Lv2][프로그래머스][131701]연속 부분 수열 합의 개수 (181) | 2023.10.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