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 설명
n개의 음이 아닌 정수들이 있습니다. 이 정수들을 순서를 바꾸지 않고 적절히 더하거나 빼서 타겟 넘버를 만들려고 합니다. 예를 들어 [1, 1, 1, 1, 1]로 숫자 3을 만들려면 다음 다섯 방법을 쓸 수 있습니다.
-1+1+1+1+1 = 3
+1-1+1+1+1 = 3
+1+1-1+1+1 = 3
+1+1+1-1+1 = 3
+1+1+1+1-1 = 3
사용할 수 있는 숫자가 담긴 배열 numbers, 타겟 넘버 target이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 숫자를 적절히 더하고 빼서 타겟 넘버를 만드는 방법의 수를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작성해주세요.
제한 사항
주어지는 숫자의 개수는 2개 이상 20개 이하입니다.
각 숫자는 1 이상 50 이하인 자연수입니다.
타겟 넘버는 1 이상 1000 이하인 자연수입니다.
입출력
numbers | target | return |
[1, 1, 1, 1, 1] | 3 | 5 |
[4, 1, 2, 1] | 4 | 2 |
코드 및 설명
def solution(numbers, target):
numbers_arr = [0]
answer = 0
for number in numbers:
check_arr = []
for check in numbers_arr:
check_arr.append(check-number)
check_arr.append(check+number)
numbers_arr = check_arr
for data in numbers_arr:
if data == target:
answer += 1
return answer
이 문제는 bfs, dfs 둘 다 풀 수 있는 문제이다. 일단 bfs랑 dfs를 처음 이해가 안 가서 계속 생각했다... 구글신의 힌트와 bfs, dfs 동영상을 보면서 겨우겨우 이해한 bfs로 풀었다...
위에서 보면 배열에 [1,1,1,1,1]있고 타겟은 3이다. 저기서 어떻게 조합을 하든 3이 나오는 값을 구하면 되는 건데. - +를 조합하여 구하면 된다.
1
-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3 -1 - 1 1 -1 1 1 3 -1 1 1 3 1 3 3 5
처음 1이 올때 -1, 1로 나누고 다음 또 1이 올 때 -1, 1, -1, 1로 하면서 계속 누적해간다. 그러면 numbers_arr 모든 계산 결과가 담겨 있고 여기서 target과 같은 것만 카운트해주면 끝이다.
'삽집하는 개발들 > 알고리즘' 카테고리의 다른 글
[72일차][Lv2][프로그래머스][12949]행렬의 곱셈 (5) | 2023.11.06 |
---|---|
[71일차][Lv2][프로그래머스][정렬][42747]H-Index (7) | 2023.11.03 |
[69일차][Lv2][프로그래머스][월간 코드 챌린지 시즌3][87390]n^2 배열 자르기 (60) | 2023.10.24 |
[68일차][Lv2][프로그래머스][131127]할인 행사 (37) | 2023.10.21 |
[66일차][Lv0][프로그래머스][120585,120854,120814]머쓱이보다 키 큰 사람, 배열 원소의 길이,피자 나눠 먹기 (1) (66) | 2023.10.16 |